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디지절 포렌식 전문가 2급 필기
- 포렌식
- NRZ-I
- NRZ-L
- 네트워크
- 아날로그 신호
- 점대점(point-to-point)
- 세션계층
- 단극형
- 자격증
- KS/KICS
- 교환(switching)
- 데이터그램(datagram)
- 표준안/표준화기구
- 다중점(multi-point)
- 디지털 신호
- 응용계층
- OSI
- 상승코드
- Stop-and-Wait ARQ
- 해밍코드
- Go-Back-N ARQ
- 진폭편이변조
- 디지털 포렌식
- 표현계층
- 주파수편이변조
- 블록합체크섬
- 양극형
-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2급 필기
- 직렬전송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2)
IT의 정석

[4-1] 회선 구성 점대점 (point-to-point) 방식 - 메인 프레임 형태의 중앙의 컴퓨터와 여러 터미널들이 독립적인 회선을 이용하여 1:1로 연결되는 방식 - 비지능형(dumb) 터미널을 비동기식으로 중앙 컴퓨터에 연결할 때 사용 - TCP/IP 환경에서는 PPP를 사용하여 1:1로 연결 다중점(Multi-point) 방식 - 하나의 장치에 연결된 하나의 전용회선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장치들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 - 멀티 드롭(Multio-drop)방식이라고도 함 - 컴퓨터가 폴링하는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 - 컴퓨터가 방송하는 형태로 모든 터미널에 데이터 전송 - 터미널의 주소 판단 기능과 버퍼가 필요 - 장점 : 데이터 양이 적을 때 효과적, 회선 비용 절감 - 단점 : 회선 ..

[1-1] 데이터 통신의 정의 데이터 통신의 정의 데이터(Data) - 임의의 형태로 형식화된된 사실이나 개념, 의사, 명령 등을 사람이나 기계에 의한 처리가 적합하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나타낸 것 -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2진 형태의 정보단위 - 컴퓨터 시스템 관점 정보(Information) - 데이터를 처리 가공한 결과로서 사용자에게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의미 있는 데이터 통신(Communication) - 정보 공여자(source)와 수여자(sink)간의 정보 이동현상 "통신을 한다." 라는 것은 정보의 고유를 의미 분류관점 통신의 종류 전송 매체 유선 통신, 무선 통신 송수신자의 이동여부 고정 통신, 이동 통신 신호 형태 아날로그 통신, 디지털 통신 신호의 종류 전기통신, 광통신 이..